- 
[단독]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 '서해피격·강제북송' 입장 묻자 "취임 시 살펴볼 것"
"김정은 통치 방식, 김일성과 유사" [코리아헤럴드=김아린 기자]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과 '탈북 어민 강제북송 사건'을 검토할 의사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 자료에서 이 후보자는 피살 공무원과 탈북 어민 사건 관련한 입장을 묻는 질의에 "세종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던 시기에 발생한 사건으로 정확한 사실관계를 알지 못한다"면서, "국정원장으로 취임하게 된다면 관련 내용을 살펴보겠다"고 짧게 답했다. 2020년 9월 서해에서 북한군의 총격에 숨진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대준 씨 사건과 관련한 재판은 2023년 3월 첫 공판 후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2019년 11월 귀순 의사를 밝힌 북한 어민들이 북송된 사건 관련한 2심 재판은 지난 6월 시작했다. 인사청문 자료를 보면 이 후보자는 자신의 대북관과 관련해 일각에서 제기한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그는 "북한과 한반도를 심층 연구했다는 이유로 친북적이라고 하는 평가에는 절대
June 18, 2025 - 
[단독]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서해피격·강제북송' 입장 묻자 "취임 시 살펴볼 것"
"친북적이란 평가 절대 동의 못해" [코리아헤럴드=김아린 기자]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과 '탈북 어민 강제북송 사건'을 검토할 의사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코리아헤럴드가 확인한 인사청문 자료에서 이 후보자는 피살 공무원과 탈북 어민 사건 관련한 입장을 묻는 질의에 "세종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던 시기에 발생한 사건으로 정확한 사실관계를 알지 못한다"면서, "국정원장으로 취임하게 된다면 관련 내용을 살펴보겠다"고 짧게 답했다. 2020년 9월 서해에서 북한군의 총격에 숨진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대준 씨 사건과 관련한 재판은 2023년 3월 첫 공판 후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2019년 11월 귀순 의사를 밝힌 북한 어민들이 북송된 사건 관련한 2심 재판은 지난 6월 시작했다. 인사청문 자료를 보면 이 후보자는 자신의 대북관과 관련해 일각에서 제기한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그는 "북한과 한반도를 심층 연구했다는 이유로 친북적이라고 하는 평가에는
June 18, 2025 - 
[단독]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북한, 비상계엄 이후 대남 '거리두기' 중...김주애, 공식 내정은 아직"
[코리아헤럴드=김아린 기자]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는 17일 북한이 12·3 비상계엄 이후 한국과 철저히 거리를 두고 있다며, 오물풍선 살포 등 대남 공세가 중단된 것도 '거리두기 정책'의 일환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 후보자는 국회에 낸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에서 "북한이 작년 말 비상계엄 정국을 기점으로 철저한 대남 거리두기·무시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특히 민감하게 반응해왔던 민간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해서도 "반발 없이 내부 단속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북한이 계엄 이후 한국 국내 정치 상황과 관련해 "논평을 자제하고 팩트 위주로 간략히 보도하고 있으며, 새 정부의 외교안보 인선 등의 발표에도 별다른 반응이 없다"고 했다. 이는 북한이 지난 해 내내 전개했던 강경한 대남 공세와 대조적이다. 북한은 2023년 12월 남북을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면서 한국의 통일부에 상응하는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해체하고, 대남 교류와 관련한 법과 합의서
June 17, 2025 - 
[단독]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북한, 비상계엄 이후 대남 '거리두기' 중...김주애, 공식 내정은 아직"
[코리아헤럴드=김아린 기자]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는 17일 북한이 12·3 비상계엄 이후 한국과 철저히 거리를 두고 있다며, 오물풍선 살포 등 대남 공세가 중단된 것도 '거리두기 정책'의 일환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 후보자는 국회에 낸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에서 "북한이 작년 말 비상계엄 정국을 기점으로 철저한 대남 거리두기·무시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특히 민감하게 반응해왔던 민간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해서도 "반발 없이 내부 단속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북한이 계엄 이후 한국 국내 정치 상황과 관련해 "논평을 자제하고 팩트 위주로 간략히 보도하고 있으며, 새 정부의 외교안보 인선 등의 발표에도 별다른 반응이 없다"고 했다. 이는 북한이 지난 해 내내 전개했던 강경한 대남 공세와 대조적이다. 북한은 2023년 12월 남북을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면서 한국의 통일부에 상응하는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해체하고, 대남 교류와 관련한 법과 합의서
June 17, 2025 - 
[단독] 정부 '비화폰' 독점 계약 SKT...국정원 "현재까지 유심 해킹 피해 없어"
"유심 정보 유출, 안보폰 안전성에 영향 없어" 지난 달 안보폰 전량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안보폰 유심 교체 '권고'...의무 아냐 [코리아헤럴드=김아린 기자] SK텔레콤 해킹 사태의 파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국가정보원이 파악한 정부에서 사용하는 '비화폰'에 대한 피해 사례는 현재까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정원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국정원은 SKT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고로 인한 '비화폰' 피해 사례는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흔히 '비화폰'이라고 불리는 '안보폰'은 국정원, 군·국방부, 외교부, 대통령경호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의 국가 안보와 관련된 기관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안보폰과 안보폰 운용을 위해 사용되는 서버의 보안 기능은 SKT 유심 정보와 무관하게 작동하고 있어, 이번 유심 정보 유출 사고가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진단하는 한편, "유심이 복제될 경우 일반폰과 마찬가지로 이동통신망 접속이 끊기
May 22, 2025 - 
[단독] 정부 '비화폰' 독점 계약 SKT...국정원 "현재까지 유심 해킹 피해 없어"
"유심 정보 유출, 안보폰 안전성에 영향 없어" 지난 달 안보폰 전량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안보폰 유심 교체 '권고'...의무 아냐 [코리아헤럴드=김아린 기자] SK텔레콤 해킹 사태의 파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국가정보원이 파악한 정부에서 사용하는 '비화폰'에 대한 피해 사례는 현재까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정원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국정원은 SKT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고로 인한 '비화폰' 피해 사례는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흔히 '비화폰'이라고 불리는 '안보폰'은 국정원, 군·국방부, 외교부, 대통령경호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의 국가 안보와 관련된 기관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안보폰과 안보폰 운용을 위해 사용되는 서버의 보안 기능은 SKT 유심 정보와 무관하게 작동하고 있어, 안전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진단하는 한편, "유심이 복제될 경우 일반폰과 마찬가지로 이동통신망 접속이 끊기는 등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May 22, 2025